- [통증] 요하지통
- 조회수 2
1. 요통환자에게
요통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원인으로서는 추간판탈출증, 변형성 척추증, 추간관절증, 근근막성 요통, 척추관 협착증, 척추전방전이증, 골다공증 등 허리의 뼈에 관련되어 발생하는 것 이외에도, 비뇨기과질환(요관결석, 신장결석), 부인과질환, 내과 질환 등이 있습니다.
2. 어떠한 질환들이 있습니까?
추간판탈출증 이라는 것은 뼈와 뼈 사이에서 쿠션역할을 하는 디스크의 수핵이 척수가 지나가고 있는 척추관내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돌출된 수핵이 허리 및 다리의신경을 압박하거나 자극함으로써 허리와 다리가 아프거나 저리게 되는 것입니다. 오래 경과된다면 다리의 힘이 약하게 되거나, 허리의 움직임이 좋지 않게 됩니다. 특히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는 것이 어렵게 됩니다.
척추관협착증은 대부분 나이가 많으신 분에게 발생하며, 척수가 지나가고 있는 허리의 관(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압박하는 병입니다. 걸음을 걷게 되면 압박이 심하게 되므로 척수 및 다리로 가는 신경의 혈류가 악화되어 일시적으로 걸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단시간의 휴식 후 다시 걸을 수 있습니다.
추간관절증은 허리뼈 뒤쪽의 관절이 염좌, 변형, 염증 등에 의하여 관절에 분포하는 신경이 자극되어 허리의 통증이 나타나는 병입니다. 이 병의 특징은 등을 뒤쪽으로 젖히면 통증이 심해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근근막성 요통은 허리의 근육의 염좌 혹은 피로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골다공증은 허리 뼈가 약하게 되어 압박골절이 되거나 하는 병입니다. 특히 압박골절된 경우에는 심한 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이 대단히 제한을 받게 됩니다. 그 밖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허리의 통증이 발생하지만, 그 원인을 알아내기 위하여는 허리의 방사선 사진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치료방침을 세울 수가 있습니다.
3. 통증클리닉의 치료로서는
우선 외래에서 경막외블록(일회법)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옆으로 누워서 등을 새우처럼 구부리게 됩니다. 치료는 5-10회 정도 시행하며, 효과가 없다면 다음 단계의 치료를 행하게 됩니다.
디스크 탈출증 등에 대하여 경막외블록이 효과가 없을 경우, 그 원인을 알기 위하여 경막외 조영을 시행합니다. 경막외 조영에 의하여 어떤 신경이 나쁜가를 관찰하여 다음 단계의 치료 혹은 검사를 결정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후에 추간관절 조영 혹은 허리뼈의 CT 혹은 MRI를 행할 수 있습니다. 신경에 대한 압박이 원인으로 생각되는 경우에는 병변이 있는 신경에 대한 신경블록을 행하고 있습니다. 신경블록을 받을 경우, 때로는 다리의 힘이 없는 상태가 1시간 정도 지속될 수가 있으므로 선 자세에서 무릎에 힘이 충분히 들어가거나, 걸을 수가 있게 되면 귀가할 수 있습니다.
추간관절증에 의한 요통의 경우에는 방사선촬영이 가능한 방에서 관절을 확인해가면서 관절에 주사를 놓게 됩니다. 역시 당일에는 목욕이나 샤워 등을 할 수 없습니다. 진단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는 방사선촬영이 가능한 방에서 경막외 조영, 추간판조영, 경피적 수핵적출술 등을 행하기도 합니다.
고주파열응고치료는 추간관절을 지배하고 있는 매우 가느다란 신경을 고주파로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치료를 하는 경우 허리의 통증은 치료 얼마 후 좋아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 외에도 손가락으로 눌러서 아픈 부위에 주사하거나, 허리 및 다리로 가는 신경에 주사치료를 하는 등의 간단한 치료로부터 더욱 복잡한 장비를 이용하여 행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치료가 있습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치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가 적은 경우에는 수술치료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경우 환자분은 담당의사와 상담을 하여 수술시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술 후 허리의 통증이 있는 경우에도 신경주사를 행하면 증상이 좋아지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환자도 가벼운 마음으로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4. 일상생활에서 주의하여야 할 것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주의할 점이 있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가능하다면 등을 기대고 바른 자세를 취하여 무릎을 엉덩이 관절보다 높게 하여 앉는 것입니다. 이 경우 발을 발판 등에 올려놓고 앉는 것이 그 방법이 되겠습니다. 발판을 이용할 수 없다면 다리를 꼬아서 앉으면 되겠습니다. 다리를 길게 뻗고 앉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 허리만 구부리고 팔을 뻗어 물건을 드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 머리보다 위쪽에서 물건을 드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 앞쪽에 있는 무거운 물건(가구 등)을 당기거나 하지 않습니다.
- 창문을 들어 올리지 않도록 합니다.
- 체중을 적절히 조절합니다.
- 과로를 피합니다.
- 오랜 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지 않도록 합니다.
- 굽이 3cm 이상인 구두를 피합니다.
- 금연을 합니다.
- 허리를 차갑게 하지 않습니다.
취침 시 주의할 점은
바닥에 까는 요는 두껍고 단단한 것이 좋습니다.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엉덩이와 무릎 관절을 구부리고 자는 것이 좋습니다. 바로 누워서 자는 경우에는 무릎 밑에 이불이나 베개를 넣어 무릎관절을 구부리고 자는 것이 좋습니다. 엎드리는 것은 좋지 않지만 엎드릴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배 밑에 베개를 넣습니다. 엎드려서 책을 읽지 않도록 합니다.
앉아 있는 경우에 주의할 점
차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핸들에 의자를 가깝게 하여 엉덩이와 무릎 관절을 구부리고,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게 되도록 하여 허리를 폅니다. 운전을 하지 않으면서 차에 타는 경우에도, 엉덩이와 무릎관절을 구부려 좌석에 앉으며, 허리 뒤에 베개 등을 받치고 앉습니다.
서있거나 일어날 때의 주의할 점은
의자에서 일어날 경우에는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습니다. 허리를 펴고 몸을 의자의 앞쪽으로 이동하여 일어납니다. 누웠다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우선 무릎과 엉덩이 관절을 구부린 후 몸을 옆으로 하여, 팔꿈치를 대고 일어납니다. 그 다음에는 팔꿈치를 펴서 앉습니다. 그 후 허리를 편 후 필요하다면 지지할 수 있는 물건을 잡고서 일어납니다.